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알렉산드르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알렉산드르 2세는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니콜라이 1세의 장남으로 황태자 시절 자유주의적 교육을 받았으며, 유럽 순방을 통해 견문을 넓혔다. 1855년 즉위 후 크림 전쟁 패배로 인한 사회적 위기 속에서 농노 해방령, 젬스트보, 사법, 군사 개혁 등 광범위한 개혁 정치를 추진했다. 그러나 개혁의 한계와 반동으로 인해 암살 시도가 이어졌고, 1881년 암살당했다. 그는 발칸반도 문제에 개입하여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캅카스,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에서도 제국 확장을 시도했다. 알렉산드르 2세는 두 번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죽음은 개혁의 중단과 보수 정치의 강화를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크림 전쟁 관련자 - 니콜라이 1세
    니콜라이 1세는 1825년부터 1855년까지 러시아 제국의 황제로 재위하며 데카브리스트의 난을 진압하고 보수적인 통치를 펼쳐 '유럽의 헌병'으로 불렸으며 크림 전쟁 중 사망, 국내적으로는 억압적인 정책과 검열을 강화하고 대외적으로는 신성동맹 이념에 따라 유럽 혁명 운동을 진압했다.
  • 러시아의 테러 피해자 -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은 러시아 제국의 대공이자 알렉산드르 2세 황제의 아들이며, 군인으로서 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했고, 모스크바 총독으로 재임 중 사회혁명당 테러리스트에게 암살당했다.
  • 체사레비치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체사레비치 - 파벨 1세
    파벨 1세는 표트르 3세와 예카테리나 2세 사이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으나, 어머니와의 불화, 강경한 프랑스 혁명 대응, 변덕스러운 외교 정책, 군사 개혁, 그리고 귀족들의 불만으로 1801년 암살당했다.
알렉산드르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878–81년 촬영된 알렉산드르 2세의 사진
1878–81년 촬영된 사진
이름알렉산드르 2세 니콜라예비치 로마노프
로마자 표기Aleksandr II Nikolaevich Romanov
러시아어 표기Алекса́ндр II Никола́евич
별칭해방제
러시아어 별칭Алекса́ндр Освободи́тель
통치
작위러시아 황제
재위 기간1855년 3월 2일 – 1881년 3월 13일
대관식1856년 9월 7일
대관식 장소러시아
이전 통치자니콜라이 1세
다음 통치자알렉산드르 3세
생애
출생1818년 4월 29일
출생 장소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주 모스크바 크렘린
사망1881년 3월 13일
사망 장소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겨울 궁전
매장 장소상트페테르부르크 성 베드로-바울로 대성당
가문
왕가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
아버지니콜라이 1세
어머니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샤를로테 폰 프로이센)
종교
종교러시아 정교회
배우자
배우자마리 폰 헤센 운트 바이 덴 라인 (1841년 결혼, 1880년 사별)
예카테리나 미하일로브나 돌고루코바 (귀천상혼, 1880년 결혼)
자녀
자녀알렉산드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알렉산드르 3세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알렉세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파벨 알렉산드로비치 대공
게오르기 유리옙스키 공자 (사생아, 사후 적출)
올가 유리옙스카야 공녀 (사생아, 사후 적출)
예카테리나 유리옙스카야 공녀 (사생아, 사후 적출)
자녀 링크자세한 정보
서명

2. 생애

프란츠 크루거가 그린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대공, 1830


모스크바에서 태어난 알렉산드르 2세는 니콜라이 1세와 프로이센의 샤를로테의 장남이었다. 어릴 적에는 훗날 표트르 1세 이후 가장 어려운 개혁을 시행할 인물로 평가받을 잠재력을 보여주지 못했다.[7]

삼촌 알렉산드르 1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고, 콘스탄틴 대공이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면서 아버지 니콜라이 1세가 황제가 되었다. 알렉산드르는 황태자(체사레비치)가 되었으나,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지적 분위기는 아버지에 의해 억압되어 변화를 용납하지 않았다.[8]

바실리 주콥스키의 감독 아래 교육받으며 여러 과목과 주요 유럽 언어를 배웠다.[9][10] 1837년에는 러시아 20개 지역을 순방했고,[11] 1838년과 1839년에는 서유럽 국가들을 방문했다.[12] 시베리아를 방문한 최초의 로마노프 왕위 계승자였으며,[13] 망명 중이던 시인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게르첸을 사면하기도 했다. 이는 훗날 농노제 폐지에 영향을 주었다.

1839년 유럽 순방 중 빅토리아 여왕을 만났고, 1847년에는 아일랜드 대기근 당시 아일랜드에 기부했다.[14] 그는 독일인처럼 보였고, 평화주의적 성향에 담배와 카드 놀이를 즐겼다고 묘사된다.[15]

어린 시절부터 황제 자리를 약속받은 알렉산드르는 유능한 통치자가 되기 위해 제왕 교육을 받았다. 제국 통치에 필요한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폴란드어를 익혔고, 정부 기관에서 근무하며 군사, 외교, 재정 등 정치적 소양을 쌓았다.

1855년 크림 전쟁 중 아버지 니콜라이 1세가 사망하자 37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했다.[15] 그는 나약하고 선량한 기질이었지만, 확고한 정책관이 없어 때로는 아버지보다 더 반동적이기도 했다. 그러나 크림 전쟁 패배로 인한 여론은 알렉산드르 2세에게 개혁을 추진하게 했다.

1856년 파리 조약으로 흑해 함대 손실, 흑해 비무장 지대화 등 불리한 조건으로 패배를 인정했다.[16] 크림 전쟁 패배는 러시아 지배 계급에게 큰 위기감을 안겨주었고, 자본주의화, 산업화 등 경제 발전과 자유주의적 사회 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2. 1. 초기 생애



모스크바에서 태어난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는 니콜라이 1세와 프로이센의 샤를로테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즈의 장녀)의 장남이었다. 그의 초기 생애는 훗날 그가 보여줄 잠재력을 거의 드러내지 못했다. 표트르 1세 통치 이후 러시아에서 가장 어려운 개혁을 시행한 인물로 그를 기억할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7]

그의 삼촌 알렉산드르 1세는 후사가 없었다. 콘스탄틴 대공은 이전에 러시아 왕위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 따라서 알렉산드르의 아버지 니콜라이 1세가 새로운 황제가 되었다. 당시 알렉산드르는 아버지의 왕위 계승자로서 체사레비치가 되었다.

황태자로서 그가 살았던 시기(1825년~1855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지적 분위기는 어떠한 변화도 용납하지 않았다. 사상 자유와 모든 형태의 사적 주도권은 그의 아버지의 명령에 의해 강력하게 억압되었다. 개인적이고 공식적인 검열이 만연했고, 당국에 대한 비판은 심각한 범죄로 여겨졌다.[8]

미래의 황제인 체사레비치의 교육은 자유주의적 낭만주의 시인이자 재능 있는 번역가인 바실리 주콥스키의 감독 아래 이루어졌으며,[9] 여러 과목을 배우고 주요 현대 유럽 언어에 익숙해졌다.[10] 당시로서는 드물게 젊은 알렉산드르는 6개월 동안 러시아를 순방하며(1837년) 20개의 지역을 방문했다.[11] 그는 또한 1838년과 1839년에 많은 저명한 서유럽 국가들을 방문했다.[12] 알렉산드르는 체사레비치로서 시베리아를 방문한 최초의 로마노프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13] 러시아를 순방하는 동안 그는 망명 중이던 시인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게르첸과 친구가 되었고 그를 사면했다. 훗날 그가 러시아에서 농노제를 폐지하게 된 것은 게르첸의 영향 때문이었다.

1839년, 그의 부모는 그를 유럽 순방에 보냈고, 그는 그곳에서 20세의 빅토리아 여왕을 만났다. 1847년, 알렉산드르는 아일랜드 대기근 동안 아일랜드에 돈을 기부했다.[14]

그는 독일인처럼 보였고, 다소 평화주의자였으며, 담배를 많이 피우고 카드 놀이를 즐기는 사람으로 묘사되었다.[15]

어린 시절부터 미래의 황제 자리를 약속받은 알렉산드르는 유능한 통치자가 되기 위해 제왕 교육을 받았다. 제국을 통치하기 위해 필요한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폴란드어를 마스터했고, 정부 기관에 근무하며 군사, 외교, 재정 등 정치적 소양을 익혔다.

2. 2. 즉위와 크림 전쟁

알렉산드르 2세의 대관식 중 성모 승천 대성당으로의 행렬, 붉은 현관에서


1856년 8월 26일/9월 7일 크렘린성모 승천 대성당에서 열린 알렉산드르 2세 황제와 마리아 알렉산드로브나 황후의 대관식, 미하일리 지치(Mihály Zichy)의 그림. 이 그림은 황제가 황후에게 왕관을 씌우는 순간을 묘사하고 있다.


1855년, 크림 전쟁 중 세바스토폴 요새 격전 중에 아버지 니콜라이 1세가 붕어하여 알렉산드르 2세가 37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했다.[15] 그는 나약하고 선량한 기질이었으나, 정책에 대한 확고한 생각이 없어 때로는 아버지보다 더 반동적일 때도 있었다. 그러나 니콜라이 1세의 군대식 통치와 크림 전쟁 패배로 인한 여론은 알렉산드르 2세에게 개혁을 추진하게 만들었다.

전황은 악화일로를 걸었고, 1856년 3월 러시아는 파리 조약을 맺고 패배를 인정했다.[16] 이 조약에는 흑해 함대 손실, 흑해의 비무장 지대화 등 매우 불리한 조건이 포함되었다.[15]

크림 전쟁 패배는 러시아 지배 계급에게 큰 위기감을 안겨주었고, 제국의 쇠퇴 책임은 기존 국가 체제의 '낙후'에 있다고 여겨졌다. 자본주의화, 산업화 등 경제 발전과 자유주의적 사회 개혁이 러시아를 구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2. 3. 개혁 정치

니콜라이 1세의 뒤를 이어 즉위한 알렉산드르 2세는 크림 전쟁 패배와 국내 개혁 요구 여론에 직면했다. 그는 귀족들에게 개혁 토론을 지시하고, 해방 농노에게 농토를 분배하는 원칙을 세웠다. 농노 해방령을 통해 농노제를 폐지했고, 이는 '대개혁'으로 불리며 러시아 역사의 중요한 사건이 되었다.

알렉산드르 2세는 구체제의 계급 장벽을 허무는 개혁을 추진했다. 농노제 폐지로 자유인과 비자유인 간 차별이 사라졌고, 젬스트보에서 농노들은 이전 주인과 동등하게 대우받았다. '만인에게 평등한 법'을 내세운 사법 개혁, 모든 국민에게 병역 의무를 부과한 군사 개혁도 이루어졌다.

이 외에도 검열 완화, 태형 폐지, 데카브리스트당 가담자 석방 등 자유주의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드미트리 밀류틴 주도로 군사 개혁이 단행되어 징병제 도입, 복무 기간 단축, 군대 내 처벌 금지 등이 시행되었다. 사법 제도 개혁으로 재판 공개, 종신 판사제, 배심원 제도가 도입되었다. 젬스트보를 통한 지방 자치도 이루어졌다. 유대인 차별 완화, 알래스카 매각도 그의 통치 기간에 일어났다.

러시아-체르케스 전쟁 승리 후 체르케스인에 대한 인종 청소를 자행했다. 드미트리 밀류틴의 제안과 알렉산드르 2세의 승인으로 체르케스 원주민 추방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잦은 암살 위협으로 개혁은 완성을 보지 못하고 중단되었다.

2. 3. 1. 농노 해방령

1861년 알렉산드르 2세는 농노 해방령을 공포하여 농노제를 폐지했다. 알렉산드르 2세는 농노 해방 전에 “아래에서 농민이 자신을 해방하는 때를 기다리는 것보다 위에서 농노 제도를 폐지하는 편이 더 좋다”라고 말했다고 한다.[123][124]

농노 해방 개혁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은 법적인 측면이었다. 인간 예속을 철폐한 이 조치는 농노들에게 가장 반가운 소식이었다. 농노 해방령으로 4,000만 명의 농노가 자유를 얻었으며, 이는 후대에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법적 조처’로 칭송받는다.

하지만 농노 해방이 완벽한 개혁은 아니었다. 경제적 측면에서 지주들은 상실한 토지에 대해 국가로부터 보상을 받았지만, 토지를 분양받은 농민들은 49년 동안 토지대금을 상환해야 했다. 해방된 농노들에게 할당된 토지는 너무 적었고, 상환금액은 지나치게 부담스러웠다. 게다가 토지가 개인에게 분양된 것이 아니라 농민공동체 단위로 분양되어 공동체에 속한 농민들에게 재분할되었다. 이는 농민들에게 납세의무와 토지상환금에 대해 연대책임을 지우기 위한 조치였다. 이러한 결정은 농민공동체의 기능을 상쇄시켰을 뿐만 아니라 농업 발달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2. 3. 2. 젬스트보 (지방 자치)

1861년 농노 해방령으로 농노제가 폐지되면서, 기존 지주들이 행사하던 농노에 대한 독점적 재판권과 치안 유지 권한이 소멸되었다. 이에 따라 지방 행정 조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1864년 젬스트보가 조직되어 지방 행정이 재편되었다.[19] 젬스트보는 지주, 농민공동체, 도시민 세 계층의 대의원들로 구성되었다.[19]

젬스트보는 주민 복지와 관련된 사항만을 다루었고, 일반 행정과 공공권력 행사는 중앙 정부에서 임명한 행정관들이 담당했다.[19] 젬스트보는 자체 기능 발휘를 위해 필요에 따라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19]

젬스트보 선거는 지주에게 유리하게 진행되었지만, 자치 원칙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19] 또한, 여러 사회 계층이 지방 생활 조건 향상을 위해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19] 젬스트보 의석은 귀족과 관리에게 42%, 농민에게 38%, 상인과 기타 계층에게 20%가 배정되었으며,[19] 도로 건설, 의료, 식량, 교육 등 낙후된 농촌 환경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

2. 3. 3. 사법 제도 개혁

알렉산드르 2세의 사법 제도 개혁 이전의 재판은 권위주의와 재화주의에 물든 재판관들에 의해 비공개로 진행되었으며, 피고를 대변할 변호인도 없었다. 또한 재판 과정이 매우 느리고 많은 비용을 소모했다.[19] 1864년 개혁으로 '만인에게 평등한 법'이라는 원칙이 선포되어 계급 차별이 없어졌다. 사법부는 행정부로부터 독립되었고, 재판관은 종신제로 임명되어 안정된 생활을 보장받았다. 재판은 공개되었고, 배심원 제도가 수립되었으며, 변호사협회가 만들어졌다. 이로써 지방법원에서 고등법원에 이르는 모든 부분이 완전히 개편되었다. 이때부터 러시아의 법원조직은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가 되었다.[19] 법률 역사가인 헨리 메인 경은 알렉산드르 2세를 그로티우스 시대 이후 전쟁의 관습을 성문화하고 인도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한 최초의 위대한 시도를 한 인물로 평가했다.[25]

프랑스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법 행정 (1864)이 임기 보장을 도입했다.[24] 새로운 형법과 민사 및 형사 절차의 대폭 단순화된 시스템도 시행되었다. 사법부의 재편성은 공개 법정에서의 재판, 종신직 판사 임명, 배심원 제도, 지역 수준에서 경범죄를 처리하기 위한 치안 판사 창설을 포함하여 이루어졌다.

2. 3. 4. 군사 제도 개혁

드미트리 밀류틴이 주도한 군사 제도 개혁은 러시아 군사력 강화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19][20] 1874년 1월 1일부터 모든 사회 계층에 징병제를 도입하여,[21] 이전까지 하층 계급에게만 부과되던 병역 의무를 귀족과 평민에게도 확대했다. 1861년 이전에는 농민만이 강제 징병 대상이었고, 징병된 농노의 복무 기간은 25년에 달해 종신형으로 여겨졌다.[22]

군 복무 기간은 25년에서 6년으로 대폭 단축되었고, 병사들의 처우도 개선되었다.[23] 훈련 방식에는 인도적 원칙이 강조되었으며, 사병들에 대한 초등 교육도 실시되었다. 예비군이 확대되었고, 러시아는 15개 군사 지구로 분할되었다. 이 군사 지구 시스템은 백 년 이상 지난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전략 철도 건설과 장교단의 군사 교육 강화도 이루어졌다. 군대 내 체벌과 군인에 대한 낙인형은 금지되었다.[23] 이러한 군사 제도 개혁은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부진한 성과를 거둔 것에 대한 반성으로 추진되었다.

2. 3. 5. 기타 개혁

니콜라이 1세의 통치와 크림 전쟁 패배로 인해 러시아 사회에는 개혁에 대한 여론이 높아졌다. 알렉산드르 2세는 이러한 여론에 따라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 검열을 완화하고, 태형을 폐지했으며, 데카브리스트당의 반란 가담자들을 시베리아 유형지에서 석방했다.[19][20]

드미트리 밀류틴을 임명하여 군사 개혁을 단행했다. 1874년 1월 1일부터 모든 사회 계층에 징병제를 도입했다.[21] 이전에는 농민에게만 강제되던 25년의 징병 기간을[22] 6년으로 단축하고, 예비군 확대 및 군사 지구 시스템을 도입했다. 군대 내 체벌과 군인 낙인을 금지했다.[23]

1864년에는 프랑스 모델을 기반으로 새로운 사법 행정을 도입하여 임기 보장을 실시했다.[24] 형법과 민사 및 형사 절차를 간소화하고, 사법부 재편성을 통해 공개 법정 재판, 종신직 판사 임명, 배심원 제도를 도입했다. 헨리 메인 경은 알렉산드르 2세를 전쟁 관습 성문화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했다.[25]

젬스트보로 알려진 지방 자치 제도를 시행하여, 제한된 과세 권한을 가진 선출된 의회와 내무부 장관 지시를 받는 경찰을 갖추었다.

유대인에 대한 특별세를 폐지하고, 중등 학교 졸업자에게 정착 지역 밖 거주와 국영 고용 자격을 부여했다.[26][27]

1867년, 알래스카를 미국에 7200000USD에 매각했다.[28]

러시아-체르케스 전쟁 (1763–1864)에서 승리 후, 체르케스인에 대한 대량 학살과 절멸을 시행했다. (체르케스인 집단 학살)[47][48] 드미트리 밀류틴은 체르케스 원주민 대량 추방 아이디어를 발표했고,[49] 알렉산드르 2세는 이를 승인했다.[49] 인종 청소를 통해 원주민 무슬림들을 고향에서 내쫓았다.[50] 1864년부터 추방 작전이 시작되어[51] 1867년까지 대부분 완료되었다.[52]

2. 4. 개혁의 한계와 반동

1860년대 후반부터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은 후퇴하고 보수적인 반동 정치가 강화되었다. 1865년 개혁을 이어받을 예정이었던 황태자 니콜라이가 급사하고, 1866년 드미트리 카라코조프에 의한 암살 미수 사건이 발생하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뚜렷해졌다.[19] 이로 인해 폴란드인과 리투아니아인 다수가 시베리아로 유배되거나 미국으로 망명하였다.

알렉산드르 2세는 여러 차례 암살 위협에 시달렸으며, 암살 위기를 겪으면서 몇 년간 개혁 사상을 탄압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탄압은 효과가 없었고, 결국 다시 개혁의 길로 들어섰으나 암살당하면서 개혁은 중단되었다.

3. 암살

1881년 3월 13일, 알렉산드르 2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나로드니키의 인민의 의지당 소속 흐리니에비에츠키 등이 던진 폭탄에 암살당했다.[57] 나폴레옹 3세에게서 받은 방탄 마차 덕분에 첫 번째 폭탄은 피했지만,[59] 다친 호위병들을 살피기 위해 마차에서 내렸다가 두 번째 폭탄에 맞아 숨졌다.[130]

알렉산드르 2세의 암살 (1881년)


매주 일요일마다 군대 사열을 위해 미하일로프스키 마네지로 향하던 알렉산드르 2세는 예카테리나 운하를 지나 페브체스키 다리를 건너는 경로를 이용했다. 암살 당일, 나로드나야 볼랴 단원 니콜라이 르사코프가 던진 첫 번째 폭탄은 황제의 방탄 마차를 손상시켰지만, 황제는 무사했다.[59] 그러나 황제가 부상자들을 살피는 사이, 이그나시 흐리니에비에츠키가 던진 두 번째 폭탄에 의해 치명상을 입었다.[61][62] 알렉산드르 2세는 겨울 궁전으로 옮겨졌으나, 과다 출혈로 인해 곧 사망했다.[64] 그의 개인 깃발은 그날 오후 3시 30분에 내려졌다. 암살 장소에는 피의 사원이 세워졌다.

알렉산드르 2세는 암살 당일, 미하일 로리스-멜리코프가 제안한 일종의 '의회' 설치안(로리스-멜리코프 개혁안)을 승인했다. 이 개혁안은 젬스트보 대표나 대도시 자치회 대표 등을 국가평의회에 참여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암살 주모자들은 처형되었고, 로리스-멜리코프의 개혁안은 백지화되었다. 그의 죽음은 러시아의 개혁 운동에 큰 타격을 주었다. 그의 아들 알렉산드르 3세는 콘스탄틴 포베도노스체프의 조언에 따라 개혁을 중단하고 전제 정치를 강화했다.[69] 이로 인해 시민의 자유는 억압되었고, 경찰의 만행이 다시 나타났으며, 반유대주의 포그롬과 5월 법이 시행되었다.[39]

3. 1. 암살 시도들

1866년 4월, 드미트리 카라코조프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암살을 시도했다.[54] 이를 기념하고자 여러 러시아 도시에 교회와 예배당이 세워졌고, 빅토르 하르트만은 기념비적인 문을 설계했다. 모데스트 무소르크스키는 이를 바탕으로 ''전람회의 그림''의 마지막 악장 "키예프의 대문"을 작곡했다.

1867년 파리 만국 박람회에서는 폴란드 출신 이민자 안토니 베레조프스키가 알렉산드르 2세와 그의 두 아들, 나폴레옹 3세가 탄 마차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55]

1879년 4월, 알렉산드르 솔로비예프가 황제에게 다섯 발의 총을 쏘았지만 모두 빗나갔다.[59] 같은 해 12월, 나로드나야 볼랴는 철도 폭발을 계획했으나, 황제가 탄 기차를 놓쳤다.

1880년 2월, 스테판 할투린이 겨울 궁전 식당 아래에 폭탄을 설치해 11명이 사망하고 30명이 부상당했다. 그러나 황제와 가족은 늦어진 저녁 식사 덕분에 화를 면했다.[59]

1881년 3월 13일, 알렉산드르 2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나로드니키의 인민의 의지당 소속 흐리니에비에츠키 등이 던진 폭탄에 암살당했다.[57] 나폴레옹 3세에게서 받은 방탄 마차 덕분에 첫 번째 폭탄은 피했지만,[59] 다친 호위병들을 살피기 위해 마차에서 내렸다가 두 번째 폭탄에 맞아 숨졌다.[130]

4. 외교 정책

알렉산드르 2세는 크림 전쟁 이후 세바스토폴 함락 등으로 국가가 굴욕을 겪자, 알렉산드르 고르차코프를 중심으로 평화 협상에 헌신했다.[16]

크림 전쟁 패배 후 러시아는 발칸반도 대신 아시아로 눈을 돌렸다. 캅카스 전쟁 (1817-1864) 이후 캅카스 지방 바쿠유전 개발에 노벨 가문이 참여했다. 중앙아시아에서는 투르키스탄의 부하라 칸국(1868), 히바 칸국(1873)을 보호령으로, 코칸트 칸국(1876)을 멸망시키고 면화 재배를 중심으로 경제 개발을 추진했다.

러일 화친 통상 조약 협상에 파견된 개시개항 연기 교섭 사절 (1862) 한방 의사 다카하시 유케이의 알렉산드르 2세 초상화


애로우 전쟁으로 혼란한 1858년 아이군 조약, 톈진 조약, 1860년 베이징 조약을 체결, 연해주를 획득하고 블라디보스토크를 건설했다. 알래스카1867년 미국에 720만달러에 매각했고,[125] 1875년 사할린-쿠릴 열도 교환 조약으로 일본과 국경을 확정했다. 마리아 루스호 사건 국제 중재 재판(1873-1875)에서는 일본에 유리한 판결을 내렸다.

4. 1. 유럽 관계

알렉산드르 2세는 러시아의 고립을 우려하여 외무대신 알렉산드르 고르차코프의 협력으로 유럽 국가들과의 국제 협조 노선을 모색했다.[15] 그러나 프랑스와의 관계 개선은 실패했고, 영국이나 오스트리아와는 여전히 강한 적대 관계에 있었다.[15] 이에 따라 프로이센과의 우호 관계를 통해 1873년 삼제 동맹을 체결하였으며, 여기에는 발칸 반도를 두고 러시아와 경쟁 관계에 있던 오스트리아도 포함되었다.[15]

4. 2. 발칸 반도 문제

크림 전쟁 이후 러시아 정부는 발칸 반도 남하 정책에 신중을 기했지만, 슬라브주의자들의 활동에 힘입어 1877년 불가리아 보호를 명목으로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하여 러시아-튀르크 전쟁을 일으켰다.[125] 9개월 간의 전투 끝에 아드리아노플을 함락하고 오스만 제국의 항복을 받아냈다.[125] 1878년 2월 산스테파노 조약에서 러시아는 위성국으로 삼고자 불가리아 공국을 형성하고 오스만 제국에 자치권을 인정하도록 했다.[125] 그러나 열강들은 이에 격렬히 반발했고, 같은 해 7월 베를린 회의에서 조약 내용이 러시아의 영향력을 줄이는 방향으로 대폭 수정되었다(베를린 조약).[125] 러시아는 불가리아 공으로 황후의 조카 알렉산드르를 추대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베를린 회의를 주최한 프로이센과의 동맹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슬라브주의자들 사이에서 나오게 되었다.[125]

4. 3. 캅카스,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정책

캅카스 전쟁 (1817년-1864년)으로 러시아의 지배하에 들어간 캅카스 지방에서는 바쿠유전에 대한 이권이 유럽 여러 나라 기업가들의 주목을 받았고, 스웨덴 출신의 노벨 가문이 이 지역 개발을 맡아 막대한 부를 쌓았다.

알렉산드르 2세의 치세에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본격적인 진출과 개발 또한 시작되었다. 투르키스탄 지방에서는 부하라 칸국(1868년), 히바 칸국(1873년)을 차례로 보호령으로 삼고, 1876년 코칸트 칸국을 멸망시키자, 이 지역에서도 러시아화 정책과 경제 개발이 추진되었다. 이 지역은 면화 재배 및 면 공업의 중심지가 되었고, 단작화가 진행되어 갔다.

크림 전쟁의 패배로 발칸반도로의 진출에 실패한 러시아는 아시아 진출을 통해 적극적인 제국 확장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애로우 전쟁으로 혼란스러웠던 1858년의 아이군 조약 및 톈진 조약, 1860년베이징 조약을 잇따라 체결하여 연해주 (현재의 프리모르스키 지방)를 획득하고 부동항 블라디보스토크를 건설했다. 제국 동부 지역의 개발이 진행되는 가운데 많은 해방 농민들이 시베리아로 이주했다.[125]

또한 극동에서의 영토 정리도 이루어졌다. 1867년에는 개발이 어려운 알래스카 (현재의 알래스카주)를 미국에 720만달러에 매각했으며,[125] 1875년에는 일본의 특명 전권 대사 에노모토 다케아키와의 협상을 통해 사할린-쿠릴 열도 교환 조약을 체결하여, 러일 간의 국경을 확정했다.

일본과의 관계에서 언급할 점은, 일본 정부와 페루 정부 사이에 발생한 마리아 루스호 사건에서, 1873년부터 1875년에 걸쳐 열린 국제 중재 재판의 재판장을 맡아 일본에 유리한 판결을 내렸다는 것이다.

5. 가족 관계

wikitext

알렉산드르 2세는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황후와 결혼하여 6남 2녀를 두었으나, 부부 사이는 원만하지 못했다. 사교적이지 못하고 조용한 마리야 황후와 소원해진 알렉산드르 2세는 정부(情婦) 예카테리나 돌고루코바와의 사이에서 2남 2녀를 낳았다. 1880년 마리야 황후가 죽자, 알렉산드르 2세는 예카테리나와 재혼하였으나, 귀천상혼으로 인해 황후가 되지는 못하였다.

알렉산드르 2세의 가족 관계
배우자자녀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
예카테리나 돌고루코바


5. 1. 첫 번째 결혼

1841년, 헤센대공루트비히 2세의 막내딸 마리와 정략 결혼했다. 마리는 그의 어머니 빌헬미네의 사생아였지만, 그녀에게 첫눈에 반한 알렉산드르는 이를 알고도 아내로 맞아들였고, 마리는 개종하여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로 개명했다. 슬하에 6남 2녀를 두었지만, 몸이 약했던 마리아는 잦은 출산으로 쇠약해졌고, 이후 의사에게 성행위를 금지당했다. 결혼 후에도 다른 귀족 여성들과의 성관계를 반복하던 알렉산드르는, 아내의 건강 악화와 함께 다른 여성과의 관계를 더욱 깊게 했다.

1865년에 장남인 황태자 니콜라이가 21세의 젊은 나이로 급사한 것은 황제 부부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주었다. 특히 장남을 사랑했던 마리아는 전혀 회복하지 못했고, 상심한 알렉산드르는 위안을 얻기 위해 예카테리나 돌고루코바 공작 영애와 불륜 관계에 빠졌다.

1866년, 48세의 알렉산드르 2세는 몰락 귀족의 딸이자 스몰니 여학교의 여학생이었던 예카테리나 돌고루코바 공작 영애(애칭: 카챠)와 불륜 관계가 되었다. 두 사람은 카챠가 스몰니 여학교를 졸업하기를 기다려 연애 관계가 되었고, 4명의 아이가 태어나 행복한 "가정" 생활을 이루었다. 당연하게도 이 관계는 세상에 알려졌고, 황태자 알렉산드르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비난을 받았다.

1880년 5월에 황후 마리아가 사망하자, 황제는 교회법과 가족들의 반대를 무시하고, 카챠와 재혼(귀천상혼)에 이르렀다. 당연히 이 결혼은 로마노프 왕조 사람들의 용서를 받지 못했고, 황제의 사후, 카챠와 그녀의 아이들은 340만 루블의 연금을 받고 니스로 쫓겨났다.

예카테리나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 올가(왼쪽)・게오르기(가운데)・예카테리나(오른쪽)


황후 마리아와의 사이에서 8명의 자녀를 두었다.

  • 알렉산드라 (1842년 - 1849년)
  • 니콜라이 (1843년 - 1865년)
  • 알렉산드르 3세 (1845년 - 1894년)
  • 블라디미르 (1847년 - 1909년) …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 프리드리히 프란츠 2세의 딸 마리 알렉산드리네와 결혼
  • 알렉세이 (1850년 - 1908년) … 알렉산드라 주코프스카야(유명한 러시아 시인 바실리 주코프스키의 딸)와 귀천상혼
  • 마리아 (1853년 - 1920년) …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알프레트 (빅토리아 여왕의 차남) 비
  • 세르게이 (1857년 - 1905년) … 헤센 대공 루트비히 4세의 딸 엘리자베트와 결혼
  • 파벨 (1860년 - 1919년) … 그리스 왕게오르기오스 1세의 공주 알렉산드라와 결혼, 이후 올가 카르노비치와 귀천상혼


재혼 상대인 예카테리나 돌고루코바 공작 영애와의 사이에서는 결혼 전에 4명의 자녀를 두었다. 모두 어머니에게 주어진 "유리예프스카야 공녀(유리예프스키 공)"의 성을 사용했다.

  • 게오르기 (1872년 - 1913년) … 자르케나우 백작 부인 알렉산드라와 결혼
  • 올가 (1874년 - 1925년) … 메렌베르크 백작게오르크 니콜라스 부인
  • 보리스 (1876년)
  • 예카테리나 (1878년 - 1959년) … 알렉산드르 바랴틴스키 공작 부인, 이후 세르게이 오보렌스키 공작 부인

5. 2. 두 번째 결혼

1880년 황후 마리야 알렉산드로브나가 죽자, 알렉산드르 2세는 예카테리나 돌고루코바와 재혼하였다. 그러나 이 결혼은 귀천상혼이었기 때문에 예카테리나는 황후가 되지는 못했다.[88]

1880년 7월 6일, 알렉산드르 2세는 차르스코예 셀로에서 예카테리나 돌고루코바와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렸다.[88] 이 결혼은 배우자가 사망한 후 최소 40일의 애도 기간을 요구하는 정교회 관습을 어긴 것이었기 때문에, 그의 가족과 궁정을 경악하게 했고, 외국의 궁정에서도 비판을 받았다.[89] 알렉산드르는 예카테리나에게 유리에프스카야 공작부인이라는 칭호를 수여하고 그들의 자녀들을 합법화했다.[89]

알렉산드르 2세와 예카테리나는 결혼 전에 이미 네 명의 자녀를 두고 있었다.[89]

이름출생사망비고
게오르기 알렉산드로비치 유리에프스키 공1872년 5월 12일1913년 9월 13일알렉산드라 폰 자르네카우 백작부인과 결혼 (1900년), 1908년 이혼. 슬하에 아들 하나를 둠.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유리에프스카야 공녀1873년 11월 7일1925년 8월 10일메렌베르크 백작 게오르크와 결혼 (1895년). 슬하에 세 명의 자녀를 둠.
보리스 알렉산드로비치 유리에프스키 공1876년 2월 23일1876년 4월 11일요절
예카테리나 알렉산드로브나 유리에프스카야 공녀1878년 9월 9일1959년 12월 22일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바랴틴스키 공과 결혼 (1901년), 슬하에 두 아들을 둠. 세르게이 오볼렌스키와 재혼 (1916년), 1924년 이혼.


6. 평가와 유산

알렉산드르 2세는 니콜라이 1세의 뒤를 이어 37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그는 농노 해방을 비롯한 여러 개혁을 추진하여 '대개혁'이라는 칭송을 받으며 러시아 역사의 이정표를 세웠다.[66]

1861년 농노 해방령은 4,000만 명의 농노에게 자유를 주었으며, 이는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법적 조처'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농민들은 토지대금을 49년 동안 상환해야 했고, 할당된 토지는 적었으며 상환금액은 과도했다. 또한 토지가 개인에게 분양되지 않고 농민공동체 단위로 분양되어 농업 발달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젬스트보 기구는 지방행정을 재편하여 지주, 농민공동체, 도시민 세 계층이 대의원으로 참여하게 했다. 젬스트보는 도로 건설, 의료, 식량, 교육 등 농촌 환경 개선에 기여했다. 법원 개혁을 통해 '만인에게 평등한 법'이라는 원칙이 선포되었고, 사법부는 행정부로부터 독립되었다. 군대 개혁은 국민징병제를 실시하고 복무기한을 단축하여 러시아 근대화의 상징이 되었다.

알렉산드르 2세의 개혁은 계급 간의 장벽을 무너뜨리고, 자유와 평등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노력이었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암살 위협 속에서 개혁 사상을 탄압하기도 했지만, 다시 개혁의 길로 들어섰다.

알렉산드르 2세는 미하일 로리스-멜리코프의 로리스-멜리코프 헌법 개혁안을 승인했지만,[67] 그의 암살로 인해 개혁은 중단되었다. 그의 죽음은 시민의 자유에 대한 탄압을 촉발시켰고, 경찰의 만행이 다시 나타났다.[69] 이는 아나키즘 신봉자들이 "'행동 선전'"을 옹호하도록 영감을 주었다.[70]

핀란드 대공으로도 알려진 알렉산드르 2세는 다수의 핀란드인들 사이에서 호평을 받았다. 1899년 3월 13일, 황제의 서거 기념일에 핀란드 헬싱키의 헬싱키 원로원 광장에 세워진 알렉산드르 2세의 동상에는 꽃이 놓여졌다.


피의 사원은 알렉산드르 2세의 암살 장소에 세워졌다.


그의 암살 장소에는 피의 사원이 세워져 그의 기억을 기리고 있다.[71][72]

참조

[1] 웹사이트 Reformation by the Tsar Liberator http://www.inforefug[...] 2016-04-18
[2] 백과사전 Alexander II {{!}} emperor of Russia https://www.britanni[...] 2018-05-14
[3] 웹사이트 What role did Russia play in the U.S. Civil War? https://www.rbth.com[...] 2017-08-16
[4] 서적 Alaska, a history of the 49th stat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87
[5] 서적 The Ghost of Freedom: A History of the Caucasus
[6] 웹사이트 Контрреформы 1889–1892 гг.: Содержание контрреформ // Николай Троицкий http://scepsis.net/l[...]
[7] 서적 The McGraw-Hill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an international reference work https://books.google[...] McGraw-Hill
[8]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9]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10]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Simon and Schuster 2005
[11] 서적
[12] 뉴스 Irish Famine sparked international fundraising https://www.irishcen[...] 2010-05-10
[13] 뉴스 The Advocate: or, Irish Industrial Journal 1855-03-07
[14] 서적 Russia in the Age of Reaction and Reform: 1801–1881 Longman 1992
[15] 서적
[16]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17]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18] 서적 Harmsworth History of the World: Volume 7 https://archive.org/[...] Carmelite House 1907
[19] 서적 The great reforms: Autocracy, bureaucracy, and the politics of change in imperial Russia Northern Illinois UP 1990
[20] 서적 Russia's great reforms, 1855–1881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21]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22] 서적 Russia 1848–1917
[23]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24] 서적 An Introduction to Russian History 1976
[25] 서적 International Law: A Series of Lectures Delivered Before the University of Cambridge, 1887 https://archive.org/[...] John Murray 2015-09-29
[26] 서적 Encyclopedia of Juda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27] 서적 Czars: Russia's Rulers for Over One Thousand Years
[28] 간행물 Why the Russians Sold Alaska 1979
[29] 서적 The Romanovs: 1613–1918 2016
[30]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 13 March 1881 https://web.archive.[...] 2009-11-11
[31] 서적 Tsarist and Communist Russia 1855–1964 Oxford University Press
[32] 백과사전 Dmitry Andreyevich, Count Tolstoy {{!}} Russian statesman https://www.britanni[...] 2018-05-14
[33] 서적 Nihilists: Russian Radicals and Revolutionaries in the Reign of Alexander II, 1855–81 Weidenfeld and Nicolson 1967
[34] 웹사이트 Alexander II https://www.britanni[...]
[35] 백과사전 January Insurrection https://www.britanni[...] 2024-01-15
[36] 서적 A history of Russia: from the birth of Peter the Great to Nicholas II https://archive.org/[...] James Pott
[37] 서적 Nikolai Miliutin, an enlightened Russian Bureaucrat New York: Oriental Research Partners
[38] 간행물 The Russo-Polish Crucible of the 1860s: A Review of Some Recent Literature
[39] 웹사이트 krotov.info https://web.archive.[...] 2018-02-09
[40] 서적 Modern Finland: Portrait of a Flourishing Society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
[41] 서적 Crimea: The Last Crusade Allen Lane
[42] 서적 Russian-American Dialogue on Cultural Relations, 1776–1914
[43] 서적 Imperial Russian Foreign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Road to Romanian Independence Purdue University Press
[45] 서적 Circassian History
[46] 서적 The Circass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16-05-03
[47] 웹사이트 Caucasian Mountaineers, Materials For the History of Circassian People http://www.circassia[...]
[48] 서적 Death and Exile, the Ethnic Cleansing of Ottoman Muslims Princeton, New Jersey
[49] 서적 The Ghost of Freedom: A History of the Caucasus
[50] 서적
[51] 뉴스 Exile of ethnic Circassian community remembered with sorrow 160 years later https://www.aa.com.t[...] 2024-05-21
[52] 서적
[53] 서적 The Ghost of Freedom: A History of the Caucasus
[54] 서적 The odd man Karakozov: Imperial Russia, modernity, and the birth of terrorism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
[55] 서적 Katia: Wife before God Macmillan 1970
[56] 서적 The Dynamite Fiend: The Chilling Tale of a Confederate Spy, Con Artist, and Mass Murderer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005
[57] 웹사이트 On the place of the emperor Alexander II assassination in St. Petersburg the Church of the Savior on Spilled Blood was founded https://www.prlib.ru[...] 2022-11-23
[58] 서적 Mother's recounting of her father's experience
[59] 간행물 Dark Tourism and the Death of Russian Emperor Alexander II, 1881–1891 2017-06-01
[60]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Czar Freepress
[61]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Dell Publishing Company
[62] 서적
[63] 웹사이트 5 times terrorists FAILED to kill the Russian Emperor https://www.rbth.com[...] 2022-04-04
[64] 서적
[65] 서적
[66] 웹사이트 The statue of the Russian emperor arouses wonder among tourists – Why is it still in the middle of Helsinki? https://yle.fi/uutis[...]
[67] 간행물 Alexander III and the Reform Plan of Loris-Melikov
[68] 서적 Roots of Revolution: A History of the Populist and Socialist Movements in Nineteenth Century Russia Alfred A. Knopf
[69] 서적
[70] 웹사이트 What do anarchists want from us? http://www.slate.com[...] 2010-12-29
[71] 웹사이트 Alexander Church https://visittampere[...]
[72] 웹사이트 Alexander Church – Tampere Tampere https://www.discover[...]
[73]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74]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75]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76]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77] 간행물 Alexander II of Russia 1855-08-11
[78]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79]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80]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81]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Sutton Publishing
[82]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83]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84]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85]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86]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Free Press, a division of Simon and Schuster, Inc.
[87]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88]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89] 서적 The Romanovs: 1818–1959
[90] 서적 Michael Strogoff
[91] 서적 Forty-Ninth
[92] 웹사이트 The Innocents Abroad, or the New Pilgrim's Progress – ch. 37 http://www.gutenberg[...] 2011-04-28
[93] 웹사이트 Russian Imperial Army – Emperor Alexander II of Russia http://regiment.ru/b[...]
[94] 서적 Kawalerowie i statuty Orderu Orła Białego 1705–2008
[95] 웹사이트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http://alex.onb.ac.a[...] 2019-11-02
[96] 웹사이트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97] 웹사이트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70 https://books.google[...] Landesamt
[98] 웹사이트 Le livre d'or de l'ordre de Léopold et de la croix de fer https://books.google[...] lelong
[99] 웹사이트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100] 웹사이트 Staatshandbücher für das Herzogtums Sachsen-Altenburg https://zs.thulb.uni[...]
[101] 웹사이트 Liste chronologique des chevaliers de l'ordre du Saint-Esprit depuis son origine jusqu'à son extinction (1578–1830) https://gallica.bnf.[...] 2020-03-24
[102]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103] 웹사이트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https://books.google[...] Berenberg
[104] 웹사이트 Kurfürstlich Hess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56 https://books.google[...] Waisenhaus
[105] 웹사이트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Hessen und bei Rhein https://archive.org/[...]
[106]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107] 서적 Almanaque imperial para el año 1866 https://books.google[...] 2020-04-29
[108] 문서 Sovereign Ordonnance of 22 July 1873 https://journaldemon[...]
[109] 서적 Staats- und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Nassau https://www.digitale[...]
[110] 웹사이트 Militaire Willems-Orde: Romanov, Aleksandr II Nikolajevitsj https://www.defensie[...] 1855-09-13
[111]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Oldenburg: für ... 1872/73 https://books.google[...] Schulze
[112] 서적 Almanacco di corte https://books.google[...] 2019-04-24
[113] 학술지 Troca de Decorações entre os Reis de Portugal e os Imperadores da Rússia https://www.academia[...] 2020-03-19
[114] 학술지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115] 서적 Die Ritter des Ordens pour le mérite 1812–1913 https://gdz.sub.uni-[...] Ernst Siegfried Mittler & Sohn
[116] 서적 Notizia storica del nobilissimo 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Sunto degli statuti, catalogo dei cavalieri https://books.google[...] Eredi Botta 2019-03-04
[117] 서적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118]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65/66 https://books.google[...] Heinrich
[119] 서적 Guía de forasteros en Madrid para el año de 1835 http://hemerotecadig[...] En la Imprenta Nacional
[120] 서적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121]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122]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Württemberg: 1869 https://books.google[...]
[123] 서적 名画で読み解く ロマノフ家12の物語 光文社
[124] 문서 미국 奴隷解放宣言 1862-09-22
[125] 서적 学習漫画 世界の歴史 13 産業革命と自由主義 富国強兵のせめぎあい https://www.amazon.c[...] 集英社 2002-11-01
[126] 서적 集英社 まんが版 世界の歴史 全10巻セット https://www.amazon.c[...] 集英社 2009-05-25
[127] 서적 漫画版世界の歴史 https://iss.ndl.go.j[...] 集英社 2009-03
[128]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カムイ』樺太編までの登場人物・キャラクターまとめ (3/4) https://renote.net/a[...] 2022-12-02
[129] 웹사이트 Reformation by the Tsar Liberator http://www.inforefug[...] InfoRefuge 2016-04-18
[130] 웹사이트 네이버캐스트 :: 인물과 역사 http://navercast.nav[...]
[131] 문서 덴마크의 알렉산드라
[132] 문서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차남
[133] 문서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녀
[134] 문서 그리스의 요르요스 1세의 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